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

덤프버전 :

'''||


파일:오버워치 아이콘 컬러 화이트.svg 오버워치 공식 리그 코리아 일람
2021 트라이얼 코리아 시즌 12021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2021 오픈테스트 ep. 5
2021 트라이얼 코리아 시즌 2

파일:2021 OWCK S1_Champion.png


파일: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 2.svg
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
대회 기간2021년 3월 15일 ~ 5월 18일[1]
주최/주관파일: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로고.svg파일:WDG 로고.svg
정규시즌 경기장온라인 경기
플레이오프 경기장
대회 서버 버전정규시즌1.57.1
플레이오프
중계
[ 펼치기 · 접기 ]
플랫폼온라인 스트리밍 중계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파일: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.svg 오버워치 컨텐더스 공식 홈페이지[1]
파일:유튜브 아이콘.svg 오버워치 이스포츠 유튜브 채널
파일:글로벌 아이콘.svg파일:유튜브 아이콘.svg 오버워치 컨텐더스 유튜브 채널
중계진중계 / 해설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심지수, 김정민, 장지수, 정인호, 황규형, 홍현성
파일:글로벌 아이콘.svgAVRL, PIXIE
[1] 컨텐더스 스킨을 얻으려면 공식 홈페이지에서 시청해야 시간이 누적된다.
일정
[ 펼치기 · 접기 ]
정규시즌3월 15일 ~ 4월 13일
인터리그4월 26일 ~ 4월 27일
플레이오프5월 3일 ~ 5월 11일
결승5월 17일, 5월 18일 TLN vs O2B
온라인 경기
상금
[ 펼치기 · 접기 ]
총 상금 $ 175,000
정규 시즌1위$20,000
2위$10,000
3위$8,000
4위$7,000
5위$6,000
플레이오프 상금우승$45,000
2위$11,250
3위$7,500
4위$5,250
5위$3,750
6위$2,250
결과
[ 펼치기 · 접기 ]
1. 개요
2. 참가 팀
2.1. 팀 로스터
3. 대회 규정
4. 변경점
5. 경기 진행
6. 기록
6.1. 정규시즌
6.2. 플레이오프
6.3. 결산
7. 주요 기록
8. 이모저모
9. 둘러보기



1. 개요[편집]


2021년 3월 15일에 개최된 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의 첫번째 시즌.


2. 참가 팀[편집]


'''||


조 지명식 영상


2.1. 팀 로스터[편집]



'''
파일:DU-mc25X4AUr0Ro.png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
2021 시즌 1 참가 팀 로스터
'''||
A조
[ WGS Phoenix ]
파일:WGS Phoenix 2021 S1.jpg

[ Starlight Gaming ]
파일:Starlight Gaming 2021 S1.jpg

[ Team BM ]
파일:Team BM 2021 S1.jpg

[ Team CC ]
파일:Team CC 2021 S1.jpg

[ O2 Blast ]
파일:O2 Blast 2021 S1.jpg

B조
[ RunAway ]
파일:RunAway 2021 S1.jpg

[ Team Diamond ]
파일:TDI 2021 S1.jpg

[ Gen.G Esports ]
파일:GenG 2021 S1.jpg

[ T1 ]
파일:T1 2021 S1.jpg

[ Talon Esports ]
파일:Talon Esports 2021 S1.jpg

팀명을 누르면 그 팀의 로스터를 펼치고 접을 수 있습니다.



3. 대회 규정[편집]


파일: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.svg 2021 코리아 시즌 1 정규시즌 전장 로테이션
구분1주차3주차4주차5주차6주차
파일:오버워치 거점 쟁탈.png쟁탈리장 타워네팔부산일리오스리장 타워
파일: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.png점령/호위눔바니아이헨발데왕의 길블리자드 월드왕의 길
파일:오버워치 화물 호위.png호위감시 기지: 지브롤터도라도감시 기지: 지브롤터하바나도라도
파일:오버워치 거점 점령.png점령아누비스 신전하나무라볼스카야 인더스트리아누비스 신전하나무라
파일:오버워치 거점 쟁탈.png쟁탈네팔리장 타워오아시스부산네팔


4. 변경점[편집]




참고로 인터리그와 플레이오프 킹 오브 더 힐 방식은 전세계 중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방식이며 2021 시즌2 에서 바뀔 가능성도 있다.

또한 이번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2021 시즌1의 모든 경기는 오버워치 e스포츠 유튜브 계정을 통해 생중계 될 예정이다.


5. 경기 진행[편집]


파일: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.svg 2021 코리아 시즌 1 경기 일람
정규시즌1주차
(3/15~16)
2주차
(휴식)
3주차
(3/29~30)
4주차
(4/5~6)
5주차
(4/12~13)
6주차
(4/19~20)
포스트시즌인터리그
(4/26~4/27)
플레이오프
(5/3~5/18)
팀별 평가 및 결산





6. 기록[편집]



6.1. 정규시즌[편집]



파일: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.svg 2021 코리아 시즌 1 정규시즌 순위
A조 순위
순위세트득실차비고
1파일:Team_CC_logo.pngCC4012-3+9
2파일:O2 BLAST 2019 logo.pngO2B3111-4+7
3파일:WGS Phoenix 로고.pngWGS227-6+1
4파일:bm_only_logo.pngBM134-9-5
5파일:SLT 로고.svgSLT040-12-12세트 전패
B조 순위
순위팀명세트득실차비고
1파일:Talon Esports 로고.svgTLN4012-1+11
2파일:T1 로고.svgT13110-4+6
3파일:Runawaylogo.pngRUN227-70
4파일:Team_Diamond_S2_Logo.pngTDI133-10-7
5파일:Gen.G 로고 심플.svgGEN042-12-10전패
초록색: 플레이오프 진출 | 노란색: 조 4위 인터리그 | 빨간색: 탈락 (트라이얼 직행) | 볼드체: 순위 확정





6.2. 플레이오프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/플레이오프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파일: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.svg 2021 코리아 시즌 1 플레이오프 순위
순위세트 전적득실비고
1파일:O2 BLAST 2019 logo.pngO2B5119-12+7우승
2파일:Talon Esports 로고.svgTLN126-6+0준우승
3파일:Team_CC_logo.pngCC012-4-2
4파일:T1 로고.svgT1011-4-3
5파일:Runawaylogo.pngRUN219-4+5
6파일:WGS_Phoenix_Logo.pngWGS010-3-3
7파일:Team BM.pngBM010-3-4


6.3. 결산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/결산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

7. 주요 기록[편집]




8. 이모저모[편집]




8.1. 오프시즌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/오프시즌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

9. 둘러보기[편집]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0-17 16:28:52에 나무위키 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2주차 경기가 늦어짐에 따라 11일에서 18일로 변경되었다.[2] 전신인 오버워치 APEX를 포함하면 김세연(Geguri)선수가 최초이다.[3] APEX 당시 팀명이 GC Busan이었으나, 계약 종료 이후 BlossoM으로 팀명이 변경되었으며, 이러한 기록을 그대로 따라간다.[4] 여담으로 러너웨이는 OGN 오버워치 APEX 시즌1부터 출전한 정말 제대로 된 리그 개근팀이다.[5] RunAway가 2021년 6월 14일부로 해체하여 WGS Phoenix 혼자 남게 되었다. [6] 이는 유튜브 생방송 시스템 문제로 동시간대 다른 생방송들도 끊김 현상이 지속되었다.

관련 문서